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GeoAI데이터학회

D-23 Today 2025.10.16

Daily program

개회식
Nov 6 (Thu), 13:00-14:30 콘스텔라홀 A+B
13:00-13:05 개회사 이사로 ((사)GeoAI데이터학회 회장)
13:05-13:25 시상식 - 기술상, 공로상, 학술상
13:25-14:25 빅데이터를 이용한 프로파일링 표창원 (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 소장)
14:25-14:30 학술대회 안내
ASEAN 광물 데이터 구축 워크샵 (Closed)
Nov 6 (Thu), 10:30-12:00 콘스텔라홀 A
한종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양블루테크 미래리더 양성 - 해상풍력 기반기술
Nov 6 (Thu), 15:00-16:30 콘스텔라홀 A
김원국 (부산대학교)
15:00-15:15 멀티센서 원격탐사를 이용한 연안 저서면 피복 탐지기술 김원국 (부산대학교)
15:15-15:30 지속가능한 해양공간 활용을 위한 부유식 해상풍력 앵커 특성 연구 오태민 (부산대학교)
15:30-15:45 시계열 위성자료를 활용한 갯벌 면적·지형고도·조류로 모니터링 체계 이동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45-16:00 성토하중 이력을 반영한 딥러닝 기반 연약지반 압밀침하 예측 정재우 (부산대학교)
16:00-16:15 조류-파랑 복합유동장에서 해상풍력 모노파일 주위의 국부세굴 산정 김민석 (부산대학교)
16:15-16:30 Sentinel 위성 영상과 AIS 정보를 활용한 부산 주변 해역 해상풍력건설 안전 해역 평가 김태호 (㈜유에스티21)
우즈베키스탄 광물자원 GIS DB 구축 (Closed)
Nov 6 (Thu), 10:30-12:00 콘스텔라홀 B
이홍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흡수원 부문 탄소공간지도 구축을 위한 협의체
Nov 6 (Thu), 15:00-16:30 콘스텔라홀 B
이선민 (한국환경연구원)
15:00-15:15 우리나라 정주지 탄소흡수원 인벤토리의 현황과 한계, AI 기반 발전 방안 김동범 (한국환경연구원)
15:15-15:30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을 위한 도시 바람길 시뮬레이션 'WindMap' 활용 방안 및 적용 사례 백상훈 (㈜슈타트)
15:30-15:45 경기도 RE100달성을 위한 기초공간정보 구축 사업의 경과 봉진식 (㈜올포랜드)
15:45-16:30 질의응답
우즈베키스탄 지질·광물자원 통합관리시스템 개발과 활용 (Closed)
Nov 6 (Thu), 10:30-12:00 폴라리스홀
한수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GeoAI와 인공위성기반 백두산화산관측
Nov 6 (Thu), 15:00-16:30 폴라리스홀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15:00-15:15 ECMWF 기상장 기반 동아시아 영역 화산재 확산 예측모델 개발 이하성 (기상청)
15:15-15:30 다종 위성 영상 및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백두산 화산 활동 모니터링 기술 개발 이어루 (서울시립대학교)
15:30-15:45 시계열 위상간섭기법 및 역산 모델링을 활용한 2024년 Fernandina 화산 분화 연구 박성천 (부산대학교)
15:45-16:00 다종 위성영상과 딥러닝 기반 백두산 화산활동 자동분석 및 화산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신한섭 (㈜올포랜드)
16:00-16:30 질의 응답
실내 라돈 인덱스 지도 작성 전문가 세미나 (Closed)
Nov 6 (Thu), 10:30-12:00 카노푸스홀
이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Nov 6 (Thu), 15:00-16:30 카노푸스홀
한근혁 (㈜지오스토리)
15:00-15:15 공간지능정보(Geo-AI) 활용 국토관리 행정서비스 소개 김태진 (한국국토정보공사)
15:15-15:30 Vibe Coding과 QGIS를 활용한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구축 활용 평가 박재연 (㈜웨이버스)
15:30-15:45 AI기반 남원시 GeoVison 플랫폼 스마트 영농관리 서비스 개발 최일훈 (㈜지오스토리)
15:45-16:00 공공분야 드론 영상 기반 Geo AI 기술 활용에 대한 정량적 효과 분석에 대한 고찰 김병주 (㈜웨이레버)
16:00-16:30 질의 응답
Nov 6 (Thu), 16:50-18:20 카노푸스홀
장재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6:50-17:05 이종자료 융합에 의한 토지피복 분할 모델에 대한 구름 식별능력 부여에 대한 연구 장재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7:05-17:20 Integrated Wildfire Mapping and Susceptibility Modeling in South Korea Using Sentinel Data and Deep Learning 와휴 루크마눌 하김 (강원대학교)
17:20-17:35 다중 센서 영상 정합을 위한 Cost volume 기반 Template 매칭 네트워크 개발 정찬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7:35-17:50 TNGNet: Transformer와 NDVI Gating을 활용한 시계열 위성영상 기반 식생 의미론적 분할 네트워크 이창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7:50-18:05 두 시기 Sentinel-1/2 SAR-광학영상 변환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NBR 지수 모사 문영란 (㈜에스아이아이에스)
18:05-18:20 질의 응답
GeoAI를 이용한 자연재해 분석 전문가 세미나 (Closed)
Nov 6 (Thu), 10:30-12:00 미팅룸 B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아열대 해양환경 적응 시나리오 개발 대응책 및 활용체계 구축 (Closed)
Nov 6 (Thu), 15:00-16:30 미팅룸 B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00-15:15 아열대 해양환경 적응 시나리오 개발, 대응책 및 활용 체계 구축 박상율 (제주대학교)
15:15-15:30 아열대 영향권 해양생태-환경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 개발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30-15:45 Seasonal dynamics of fish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revealed by eDNA metabarcoding in Gijang, Korea 고윤지 (국립부경대학교)
15:45-16:00 침입외래/유해 종 관리 기술, 기후변화 적응 시나리오 검증 및 적응 대책 수립 박상율 (제주대학교)
16:00-16:15 해양보호지역 신평가체계 개발 연구 구경아 (한국환경연구원)
16:15-16:30 질의 응답
인니 국가해양관리를 위한 한국 정지궤도위성 활용기반 구축
Nov 6 (Thu), 16:50-18:20 미팅룸 B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6:50-17:05 인도네시아 주변해역에서의 GOCI-II 대기보정 검보정 현황 안재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7:05-17:20 JM distance 기반 최적 인덱스를 활용한 GOCI-II 해상유출유 탐지 백원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7:20-17:35 다종 해양위성 자료와 AI를 이용한 산호초 백화위험지수지도 개발 김원국 (부산대학교)
17:35-17:50 연안 생태환경 분석 및 탐지 기술 연구: X-Band DEM과 GEDI 자료를 이용한 망그로브 숲 높이 측정 연구 김예영 (국립부경대학교)
17:50-18:20 질의 응답
정기총회 및 만찬
Nov 6 (Thu), 18:20-21:00 콘스텔라홀 A+B
폴라리스홀
GeoAI데이터 활용 - 공간정보, 해양
Nov 7 (Fri), 09:00-10:30 콘스텔라홀 A
한수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09:00-09:15 비전언어를 활용한 건물 피해 평가 기반 변화탐지 조환희 (울산과학기술원)
09:15-09:30 고해상도 수목지도를 활용한 식생 분포와 열환경 관계 규명 – 수원시를 중심으로 제갈선 (울산과학기술원)
09:30-09:45 딥러닝 기반 전천 1 km MODIS 지표면 온도의 고해상도 공간 다운스케일링 정인채 (울산과학기술원)
09:45-10:00 ALOS-2/4 영상레이더 자료의 위상 연속성 평가 고진욱 (부산대학교)
10:00-10:15 다변수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 표층 클로로필 농도 복원 정시훈 (울산과학기술원)
10:15-10:30 머신러닝 기반 수심별 광합성 파라미터 추정 및 준해석적 모형 결합을 통한 해양 일차생산성 추정 모델 고도화 배덕원 (울산과학기술원)
GeoAI데이터 활용 - 극지|GeoAI모델 개발 및 분석 - 데이터퓨전
Nov 7 (Fri), 10:45-12:15 콘스텔라홀 A
한향선 (강원대학교)
10:45-11:00 Improved sea ice lead detection using ICESat-2 data and sequence-to-sequence approach 한대현 (울산과학기술원)
11:00-11:15 다변수 기반 남극 해빙 농도 장기 예측 이가령 (울산과학기술원)
11:15-11:30 Beyond Clouds: Seamless Flood Mapping Using Optical Satellite Image Time Series Zhiwei Li (울산과학기술원)
11:30-11:45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고려한 기계학습 기반 GPP 추정 개선 윤서현 (울산과학기술원)
11:45-12:00 기계학습 기반 상세화를 활용한 도시화 특성과 열섬 변화 비교: 계획도시 세종시와 비계획도시 청주시 사례 도현진 (울산과학기술원)
12:00-12:15 Improving global methane monitoring: machine learning based bias correction of multi-satellite XCH₄ retrievals Jebun Naher Keya (울산과학기술원)
GeoAI데이터 활용 - 해양
Nov 7 (Fri), 13:30-15:00 콘스텔라홀 A
김원국 (부산대학교)
13:30-13:45 SAR 영상 활용 파랑 정보 추출 기술 현황 검토 김민종 (㈜유에스티21)
13:45-14:00 분광혼합분석기법과 고해상도 광학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한 제주도 오조리 방파제 경유 유출 사고 모니터링 박경애 (서울대학교)
14:00-14:15 An Optimized Algorithm for Detecting Submesoscale Chlorophyll-a Fronts Using High-Resolution Geostationary Ocean Color Data 우혜진 (서울대학교)
14:15-14:30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항만 및 물류 관리 활용 기술 소개 김현수 (㈜유에스티21)
14:30-14:45 원격탐사·인공지능 기반 해양쓰레기 분포 분석을 활용한 인천 스마트 연안환경 관리 시스템 개발 조혜연 (㈜유에스티21)
14:45-15:00 질의 응답
GeoAI데이터 활용 - 수자원, 해양
Nov 7 (Fri), 15:15-16:45 콘스텔라홀 A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15-15:30 UAV를 활용한 저고도 해양 원격탐사 영상의 직접 기하보정 및 영상 정합 기법 개발이종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30-15:45 GOCI-II 기반 위험 해무의 광학적 특성 분석주진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45-16:00 위성기반 담수 탁도 면단위 감시기술 적용성 평가장진우 (K-water연구원)
16:00-16:15 AlphaEarth 임베딩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우리나라 하천 수질 지표 추정김영준 (K-water연구원)
16:15-16:30 하상 DEM 인페인팅을 위한 학습데이터 구축정찬희 (K-water연구원)
16:30-16:45 초소형 위성자료를 활용한 담수 클로로필-a 추정 기법 개발 및 유효성 평가남기범 (K-water연구원)
데이터 기반 지능형 해양환경 관리지원 플랫폼 개발 사업 성과 공유
Nov 7 (Fri), 09:00-10:30 콘스텔라홀 B
이철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09:00-09:15 「데이터 기반 지능형 해양환경 관리지원 플랫폼」사업의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채기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09:15-09:30 시민참여 기반 지능형 해양환경 관리 플랫폼의 실증 운영 및 서비스 고도화 연구한솔 (㈜그린블루)
09:30-09:45 위성영상 기반 지능형 해양환경 미세먼지 모니터링 표출 및 시각화조수빈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09:45-10:00 CCTV를 활용한 하천 부유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연구이인지 (㈜아이렘기술개발)
10:00-10:15 항만 및 대도심 지역에서의 적외선 ASL 적용을 통한 미세먼지 공간 분포 원격 측정이한림 (국립부경대학교)
10:15-10:30 질의 응답
기상 및 기후 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융합: 활용과 도전
Nov 7 (Fri), 10:45-12:15 콘스텔라홀 B
이윤영 (아태기후센터)
10:45-11:00 AI-Driven Crop Prediction under Drought: An LSTM Approach Linking Biophysical and Market Dynamics구자우 (IFPRI)
11:00-11:15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위한 기계 학습 기반 도시규모 3D 바람장 에뮬레이터손락훈 (국립부경대학교)
11:15-11:30 위성과 AI를 활용한 재난재해 감시 및 예측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11:30-11:45 AI·원격탐사 기반 해양기상(태풍·해무·고수온) 탐지 및 예측 기술 개발박명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1:45-12:00 AI를 활용한 선행 3주 이상기후 예측: 가능성과 한계이윤영 (아태기후센터)
12:00-12:15 질의응답
GeoAI데이터 활용 - 재해, 지질|GeoAI모델 개발 및 분석 - 데이터분석
Nov 7 (Fri), 13:30-15:00 콘스텔라홀 B
이승재 (항공우주연구원)
13:30-13:45 Land Subsidence Mapping and Susceptibility Modeling in Jakarta Using ICOPS-InSAR and CNN Optimized by GWO and ICA와휴 루크마눌 하김 (강원대학교)
13:45-14:00 Sentinel-1 인공위성 영상레이더를 이용한 인천시 시계열 지표 변위 분석이찬욱 (부산대학교)
14:00-14:15 Adaptive Transformer-Based Soil Moisture Forecasting with Probabilistic Uncertainty Quantification로베르토 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4:15-14:30 Unity ML-Agents 기반 3D 실내 대피경로 강화학습 베이스라인 비교김용현 (㈜올포랜드)
14:30-14:45 메타버스 기반 과학화훈련환경플랫폼을 위한 3D 모델링 및 GeoAI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김상학 (㈜선도소프트)
14:45-15:00 질의 응답
GeoAI데이터 활용 - 기상, 생태, 환경
Nov 7 (Fri), 15:15-16:45 콘스텔라홀 B
박선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5:15-15:30 딥러닝 기반 대기-지면 결합 단·중기 폭염 예측조동진 (서울대학교)
15:30-15:45 딥러닝을 활용한 산불기상위험지수 예측 향상강유진 (국민대학교)
15:45-16:00 Local climate zone을 활용한 우리나라 주요도시의 계절별 도시 열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박수정 (전북대학교)
16:00-16:15 「생태계 기후대응 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현황 및 운영 방안원호연 (국립생태원)
16:15-16:30 정지궤도 위성을 활용한 극궤도 위성 기반 NDVI 결측 보정 가능성 분석류한솔 (㈜유에스티21)
16:30-16:45 질의 응답
원격탐사 기반 빙하 변화 탐지 및 환경 시스템 반응 분석
Nov 7 (Fri), 09:00-10:30 폴라리스홀
김현철 (극지연구소)
09:00-09:15 그린란드 빙하 말단부 장기 지형 모니터링을 위한 UAV–위성 기반 정밀 DSM 자료 구축: Russell Glacier 사례 연구정용식 (극지연구소)
09:15-09:30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그린란드 러셀빙하 주변 툰드라 식생 분석유재형 (충남대학교)
09:30-09:45 원격탐사를 이용한 그린란드 러셀빙하 유출평원 퇴적물 특성 분석김대규 (충남대학교)
09:45-10:00 High-Resolution Glacier Volume Estimation in Svalbard Using ICEBED and Data-Driven Scaling수프라팀 구하 (극지연구소)
10:00-10:30 질의 응답
북극 빙권 변화 특성 규명을 위한 원격탐사 기반 연구
Nov 7 (Fri), 10:45-12:15 폴라리스홀
김현철 (극지연구소)
10:45-11:00 설명가능 인공지능을 활용한 북극 증폭 둔화 원인 분석박진구 (극지연구소)
11:00-11:15 북극 해빙 원격탐사 산출물 개발박정원 (극지연구소)
11:15-11:30 극지 기후 연구를 위한 생성형 딥러닝 기반 L-band 위성 편광 밝기온도 자료 생성조선아 (세종대학교)
11:30-11:45 북극 여름철 유빙 파편화의 정량적 평가와 해빙 농도와의 상관성 분석김우혁 (울산과학기술원)
11:45-12:00 AI 기반 북극 MODIS IST Gap-Filling을 통한 복사강제력 산출 및 평가박성우 (국립부경대학교)
12:00-12:15 질의 응답
학생발표경진대회 - 위성
Nov 7 (Fri), 13:15-15:00 폴라리스홀
박정원 (극지연구소)
13:15-13:30 정지궤도 환경위성 자료를 활용한 다종 대기오염물질 산출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강은진 (울산과학기술원)
13:30-13:45 위성 기반 자동화 산불 피해분석을 위한 식물계절성 보정 기법성태준 (울산과학기술원)
13:45-14:00 해색 위성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해역 광학적 수질 유형 분류김소현 (울산과학기술원)
14:00-14:15 위성 자료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메탄 탐지의 센서 간 전이성과 해석 가능성양세영 (울산과학기술원)
14:15-14:30 정지궤도위성과 AI 기법을 활용한 시공간 연속적 시간별 총일차생산량 추정배세정 (울산과학기술원)
14:30-14:45 TanDEM-X bistatic SAR 자료 기반 체적 긴밀도 분석을 이용한 망그로브 캐노피 높이 추정이제윤 (부산대학교)
14:45-15:00 지상레이더를 이용한 스위스 Bettmerhorn 빙하 이동속도 관측정성우 (부산대학교)
학생발표경진대회 - 데이터
Nov 7 (Fri), 15:15-16:45 폴라리스홀
김원국 (부산대학교)
15:15-15:30 멀티소스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유동인구 추정이시우 (울산과학기술원)
15:30-15:45 실시간 인구 밀집 정보와 사회통계 지표를 활용한 산불 취약지도 구축김병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5:45-16:00 결정론적 모델과 생성모델을 결합한 북극 해빙농도 예측추민기 (울산과학기술원)
16:00-16:15 Bridging Temporal Resolution in NH3 Monitoring: AI_Based Downscaling and Cross-Regional ApplicabilitySAMAN MALIK (울산과학기술원)
16:15-16:30 딥러닝 분류 모델을 활용한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의 기본 산출물(황사 산출물) 개선 연구공성현 (서울시립대학교)
16:30-16:45 Hybrid Diffusion–Deterministic Approach for Probabilistic Precipitation NowcastingTobias Rogelio Ruzcko (울산과학기술원)
생태AI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Nov 7 (Fri), 09:00-10:30 카노푸스홀
권용수 (국립생태원)
09:00-09:15 Geo-Bigdata를 이용한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 및 활용김정철 (국립생태원)
09:15-09:30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토지이용 변화 MRV 연구이재호 (국립생태원)
09:30-09:45 우리나라 내륙습지 조사 및 DB 구축 현황이상훈 (국립생태원)
09:45-10:00 Distribution and Prediction of Freshwater Mussels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배미정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10:00-10:30 질의 응답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 (II)
Nov 7 (Fri), 10:45-12:15 카노푸스홀
이광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45-11:00 우주산업과 위성 빅데이터김윤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1:00-11:15 UAV 중복 영상을 활용한 의미론적 분할 및 LightGlue 기반 건물 높이 자동 추정이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1:15-11:30 UAV 기반 EO-LiDAR 데이터 융합을 통한 건물 포인트 클라우드 추출백준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1:30-11:45 국가위성 영상 기반 정보처리모델 구축을 위한 성능 개선 및 표준화이기웅 (㈜아이옵스)
11:45-12:00 U-Net++와 행렬분해 저랭크 보정을 이용한 위성영상기반 정교화 DEM 제작기법 기초연구김재명 (서경대학교)
12:00-12:15 SAR 위성 입사각의 조건부 특성 융합을 통한 SAR-광학 영상 변환의 공간 정확도 향상이진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GEMS위성의 GeoAI 활용
Nov 7 (Fri), 13:30-15:00 카노푸스홀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13:30-13:45 LLM을 이용한 GEMS 영상 자동 분석 – 초기 연구이원진 (국립환경과학원)
13:45-14:00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 적설 탐지 정확도 향상을 위한 딥러닝 모델 개선 연구유진우 (서울시립대학교)
14:00-14:15 정지궤도 환경위성 기본산출물(PM)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 연구공성현 (서울시립대학교)
14:15-14:30 EMSA 항공영상의 위치 오차 보정을 위한 센서 모델링 및 INR 적용정준혁 (서울시립대학교)
14:30-14:45 지상 라이다 네트워크 기반 정지궤도 환경위성 산출 에어로졸 유효고도의 구름 영향 분석주소희 (국립부경대학교)
14:45-15:00 질의 응답
학생발표경진대회 - 인공지능, 자료처리
Nov 7 (Fri), 15:15-16:45 카노푸스홀
이윤경 (세종대학교)
15:15-15:30 ERA5와 LDAPS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한반도 맞춤형 바람장 자료 구축손종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5:30-15:45 인공지능 기반 전 지구 장기간 (2003-2019) 고해상도 이산화탄소 자료 복원 알고리즘 개발황수민 (울산과학기술원)
15:45-16:00 수직 프로파일 분류와 물리 재분석을 결합한 위성・BGC-Argo 기반 전지구 3차원 클로로필 재구성조하늘 (울산과학기술원)
16:00-16:15 딥러닝 기반 대류운 전조탐지 모델 개발이시현 (울산과학기술원)
16:15-16:30 관측 기하학적 효과와 딥러닝을 융합한 정지궤도 위성 주간 전천후 시간별 지표면온도 복원김영석 (울산과학기술원)
16:30-16:45 위성 메타데이터와 Vision Transformer 융합을 통한 Sentinel-2 영상의 구름 및 그림자 탐지차상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의 환경분야 활용
Nov 7 (Fri), 09:00-10:30 미팅룸 B
이원진 (국립환경과학원)
09:00-09:15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PM2.5 라벨 데이터 자동화 기법 연구김미정 (국립환경과학원)
09:15-09:30 대기오염 배출원 공간 분포 데이터 구축 및 AI모델 개발 사업한근혁 (㈜지오스토리)
09:30-09:45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 이행 강화 방안 -정지궤도환경위성을 활용한 대기질 모니터링김근한 (한국환경연구원)
09:45-10:00 Geo-Ring 프로젝트 및 후속 환경위성 소개이원진 (국립환경과학원)
10:00-10:30 질의 응답
원격탐사 자료 기반 연안지역 갯골 정밀 지형도 제작 연구 (Closed)
Nov 7 (Fri), 10:45-12:15 미팅룸 B
이승국 (국립부경대학교)
10:45-11:15 고해상도 원격탐사 자료 기반 갯벌 갯골 정밀 추출 및 알고리즘 최적화 연구김예영 (국립부경대학교)
11:15-11:45 UAV-LiDAR 기반 정밀 갯골 추출을 위한 자료 전처리 기술 고도화장영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1:45-12:15 질의 응답
학생발표경진대회 - 위성, 육상
Nov 7 (Fri), 13:30-15:00 미팅룸 B
이홍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3:30-13:45 AMSR2SMAP: 딥러닝 기반 AMSR2 토양수분의 L-밴드 유사 변환이경빈 (울산과학기술원)
13:45-14:00 SAR-to-Optical 변환과 VLM 기반 SAR 영상 분석 프레임워크김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4:00-14:15 지상 레이더 위상간섭기법 기반의 교량 변위 모니터링김여진 (부산대학교)
14:15-14:30 컴퓨터비전과 딥러닝 기반 특징점 검출 및 매칭을 통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정합 성능 평가문기영 (국립부경대학교)
14:30-14:45 국토위성영상 기반 건물 변화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단계별 최적화 및 앙상블 전략진동혁 (국립부경대학교)
14:45-15:00 VIIRS 야간 조명 영상을 이용한 튀르키예 대지진 피해 관측 정밀도 분석주희수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발표경진대회 - 인공지능, 자료융합
Nov 7 (Fri), 15:15-16:45 미팅룸 B
박정원 (극지연구소)
15:15-15:30 딥러닝 및 물리모델을 활용한 다중위성 융합 기반 시·공간 초해상도 지표반사도 산출 기법한도희 (전북대학교)
15:30-15:45 GK2A와 지상관측 자료의 융합을 통한 한반도 안개 탐지 레이블 확장 연구김수환 (전북대학교)
15:45-16:00 IUCN GET 기준을 통한 딥러닝 기반 한반도 생태계 유형 분류백해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6:00-16:15 Attention V-net Based Sub-Pixel Classification for Water Body Mapping from Sentinel-1 SAR Images정준혁 (서울시립대학교)
16:15-16:30 인공지능 기반 정지궤도 해색위성 자료를 통한 새만금 유역의 클로로필-a 및 TP 산출 연구이예진 (전북대학교)
16:30-16:45 고해상도 위성자료와 LDAPS 데이터를 활용한 산사태 취약 지도 구축임현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갯벌 생태 모니터링 선진화
Nov 7 (Fri), 09:00-10:30 미팅룸 A
서재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09:00-09:15 갯벌생태계 조사체계 선진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위진희 (㈜해양수산정책기술연구소)
09:15-09:30 갯벌의 장기 변화 특성과 향후 변화 모니터링을 선진화 조사 방법 제시김근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09:30-09:45 드론과 인공지능 기반 갯벌 대형저서동물 서식굴 탐지를 활용한 해양보호생물 공간분포 분석서재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09:45-10:00 한국갯벌에서 염생식물군락의 blue carbon stock으로서의 역할: 지상부의 순1차생산량(NPP, net primary productivity)박여빈 (국립공주대학교)
10:00-10:15 한국 갯벌의 미래정회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0:15-10:30 질의 응답
연안육역 대상 다종위성 원격탐사 활용 기술 (Closed)
Nov 7 (Fri), 10:45-12:15 미팅룸 A
김태호 (㈜유에스티21)
10:45-11:00 Sentinel-2 영상과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한 수심추정 연구김태호 (㈜유에스티21)
11:00-11:15 Sentinel-2 SDB 기반 연안 암초 탐지김근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1:15-11:30 SAR 자료 활용 갯벌 정밀지형도 생성정한철 (연세대학교)
11:30-11:45 고해상도 위성을 활용한 연안육역 정밀지형도 생성이수암 (㈜쓰리디랩스)
11:45-12:00 위성기반 공간정보의 해도 적용 가능성 검토전혜연 (㈜유에스티21)
12:00-12:15 질의 응답
ODA를 통한 국제협력 강화
Nov 7 (Fri), 13:30-15:00 미팅룸 A
김태호 (㈜유에스티21)
13:30-13:45 탄자니아 해양수산 위성활용센터 설립을 위한 한-탄자니아 협력: 현재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김근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3:45-14:00 지속가능한 탄자니아 수산연구소 위성활용시스템 개발 현황 소개김태호 (㈜유에스티21)
14:00-14:15 스리랑카 해양수산 데이터센터 및 전자도서관 설립 : 해양데이터 인프라와 협력을 위한 한-스리랑카 ODA 이니셔티브김태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4:15-14:30 FAIR 원칙 기반 스리랑카 해양수산 데이터 레이크 구축 및 SOFDC 웹플랫폼 개발: 도전과 과제김미리내 (해봄데이터㈜)
14:30-15:00 질의 응답
GEMS 산출물 개선을 위한 표준화 자료 구축 및 도구 개발 자문회의 (Closed)
Nov 7 (Fri), 15:15-16:45 미팅룸 A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폐회식
Nov 7 (Fri), 17:00-17:30 콘스텔라홀 A
17:00-17:10 경품추첨
17:10-17:25 시상식 - 학생발표상
17:25-17:30 폐회사이사로 ((사)GeoAI데이터학회 회장)
데이터, 해양
Nov 7 (Fri), 09:10-10:30 로비
김원국 (부산대학교)
09:10-09:20 ML 알고리즘을 이용해 다운 스케일링 보간한 TROPOMI XCH4 데이터의 한국 지역 메탄 배출량 핫스팟 매핑 정다희 (충남대학교)
09:20-09:30 Forecasting Industrial Air Pollution with Transformer-Based Soft Sensors 로베르토 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09:30-09:40 딥러닝 기반 CloudU-Net 모델을 활용한 구름 탐지 박민지 (충남대학교)
09:40-09:50 Near-Real-Time Detection of SO₂ Plumes Using Geostationary GK2A and U-Net: Case Studies of Ulawun (2023) and Ruang (2024) 최진혁 (충남대학교)
09:50-10:00 GNSS 전리층 지연 예측을 위한 TFT 모델의 학습 기간별 성능 평가 임수현 (세종대학교)
10:00-10:10 위성 관측과 머신러닝을 통한 오존 생성 민감도 영역별 오존 생성 원인 분석 이지윤 (충남대학교)
10:10-10:20 AI 기반 융합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GK2A 구름 탐지 성능 향상 연구 유종원 (충남대학교)
10:20-10:30 Significant Wave Height Retrieval from AI-Enhanced Marine Radar: Evaluating Biases Across Estimation Methods and Sea Conditions Afifah Hanum Amahoru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재해, 지질, 환경
Nov 7 (Fri), 10:45-12:05 로비
염종민 (전북대학교)
10:45-10:55 초분광 자료 및 기계학습 기반의 비파괴적 토양 광물 조성 예측 허지혜 (충남대학교)
10:55-11:05 Low-cost Lightweight Deflectometer Fabrication Based on Raspberry Pi 응우옌 후엔 트람 (부산대학교)
11:05-11:15 Sentinel-2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 및 수분지수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2016-2024) 이신우 (충남대학교)
11:15-11:25 위성자료 기반 전천일사를 활용한 자외선지수 추정 모델 개발 박선주 (충남대학교)
11:25-11:35 Sentinel-2 기반 다중 수질지수를 활용한 죽산보 담수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최진 (충남대학교)
11:35-11:45 무인항공 기반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하천수 내 화학물질 탐지 이경은 (충남대학교)
11:45-11:55 A Synergistic GEO Satellite Aerosol Absorption Retrieval Algorithm for GEMS and AMI Enhanced by a Deep Learning Radiative Transfer Model 김민석 (울산과학기술원)
11:55-12:05 공간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CNN 기반 산사태 취약성 분석 이정현 (세종대학교)
e-Poster
Nov 7 (Fri), 09:00-17:00 로비
한수연 (지질자원연구원)
GeoAI데이터 활용 - 공간정보, 기상, 수자원, 해양, 환경, 기타 GeoAI 기반 포인트클라우드 클래스 분류 및 3D건물객체 자동 제작 김세웅 (㈜올포랜드)
입면 정사영상 기반 교량 외관결함 AI 학습데이터 구축 및 모델 개발 박다정 (㈜올포랜드)
LiDAR 데이터를 활용한 멀티모달 AI 기반 산불 화선 탐지 및 확산 예측 연구 문주환 (㈜지오스토리)
AI-based sub-seasonal extreme rainfall forecasts 김미애 (아태기후센터)
SAR 다중 관측 기반 3차원 지표변위 복원 접근법 비교 채성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기반 방류 탐지와 하류 관측정보를 이용한 황강댐 방류량 추정 김진겸 (K-water연구원)
CCTV 영상을 활용한 지진해일 관측시스템 개선 연구 유설한 (기상청)
High-Resolution Observation of Mesoscale and Submesoscale Eddies from GOCI-II Ocean Color Data 김희영 (서울대학교)
Optical Water Type and Satellite Chlorophyll-a Variability Around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under Riverine Influence 차나연 (서울대학교)
Preliminary study of skin–bulk temperature differenc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from ISAR observations 강지원 (서울대학교)
해양경찰 위성활용시스템(KCGSA)을 위한 선박 탐지·식별 서브시스템(VDIS)의 개념 설계와 적용 결과 김예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해상도 위성 영상에서 해상도 향상 기법이 다중 클래스 선박 분류에 미치는 영향 심혜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SAR 객체 미세 도플러 특징 추출 실험 이승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GeoAI모델 개발 및 분석 - 데이터 분석, 데이터 퓨전 한반도 지역의 지진과 발파의 분류를 위한 CNN 적용사례 주형태 (부산대학교)
PLS-SEM 기반 산사태 발생 영향인자 분석 연구 정봉석 (한국환경연구원)
다중 위성영상의 공간-분광 융합을 위한 STGDFM의 단계별 성능 검증 김예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GeoAI데이터 제작 및 공유 X-밴드 초소형 SAR 위성 초해상화를 위한 AI 학습데이터 제작 최은철 (K-water연구원)

Hosted by (사)GeoAI데이터학회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56길 8-13(수서타워) 816호
  • 사업자등록번호: 780-82-00418
  • 전화번호: 02-6677-5682
  • 이메일: gaidas@gaidas.org

Copyrights 2025 © (사)GeoAI데이터학회